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4대보험 계산기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본문

사랑스러운글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secret_boy 2019. 7. 11. 18:13


국민연금 도입배경


산업화 이전의 사회에서도 인간은 질병·노령·장애·빈곤 등과


 같은 문제를 겪어 왔고


이 시기의 위험은 사회구조적인 차원의 문제라기보다는


 개인적인 문제로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문제의 해결 역시


사회구조적인 대안보다는 개인이나 가족의 책임 아래에서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산업사회로 넘어오면서 환경오염, 산업재해,


실직 등과 같이 개인의 힘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각종 사회적 위험이


 부각되었고, 부양 공동체 역할을 수행해오던 대가족 제도가 해체됨에 따라,


 개인 차원에서 다루어지던 다양한 문제들이 국가개입 필요성이


 요구되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모든 국민을 보호하여


 빈곤을 해소하고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가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사회보장제도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사회보장제도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과


 같은 사회보험제도, 기초생활보장과 의료보장을 주목적으로


하는 공공부조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그리고 노인·부녀자·아동·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는 1970년대까지만 해도 구호사업과


 구빈정책 위주였으나, 1970년대 후반에 도입된 의료보험과 1988년


 실시된 국민연금제도를 통해 그 외현을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다양한 사회보장제도 중에서 국민연금은 보험원리에 따라 운영되는


 대표적인 사회보험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가입자, 사용자로부터 정률의 보험료를 받고,


이를 재원으로 사회적 위험에 노출되어 소득이 중단되거나


 상실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급여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국민연금제도를 통해 제공되는 급여에는 노령으로


인한 근로소득 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노령연금, 주소득자의 사망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유족연금,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한 장기근로능력 상실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장애연금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는 정말 간단합니다.


먼저 '국민연금공단'을 검색 후 홈페이지에


접속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처음 접속한 모습입니다.


정보공개, 민원신청, 소통과 참여, 연금소식, 연금정보, 공단소개


메뉴가 보입니다.


그럼 거기서 민원신청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메뉴가 나오면 거기서


개인민원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민원신청 아래 바로 첫번째에 개인민원이 보이니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개인민원을 클릭하고나면 전자민원서비스 홈페이지로 이동이 되고


가입내역 조회, 가입증명서, 국민연금 찾아가세요, 연금급여 청구, 보험료 결정내역 등


메뉴가 보이는데 바로 보이는 메뉴는 클릭하지 말고 아래로 화면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그럼 그 아래에 가입내역조회와 예상연금액 조회, 예상연금 모의계산 등이 보이는데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는 예상연금액 조회를 통해서 가능합니다.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하면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와, 국민 개인 퇴직 주택연금 모두 알아보기


메뉴가 보이는데 여기서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로그인을 하는 화면이 나오게 되고


주민등록번호를 입력 후 미리 준비해놓은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해주시면 됩니다.



로그인을 하고나면 예상 수령액을 바로 확인을 할 수 있으며


수급개시 년원, 예상 총 납부월수, 예상납부보험료총액,


평균소득월액, 가입기간중 소득 평균액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향후의 소득 및 가입기간을 수정하여


재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입기간 추가 대상입력, 군복무 가입기간 추가산입,


부양가족연금대상 입력,



마지막으로 지급희망연령 선택 및 향수 소득 및 가입기간을 추가 하면


예상연금액과 비교하여 변경된 예상연금액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는


노령연금 예상연금 월액표도 제공을 하고 있으니


계산을 하지 않고도 


대략적인 연금액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가입기간 중 기준 소득월액평균액이


300,000원이고 가입기간이 40년인 경우 월 30만원의 연금을 


수령할 수 있고, 소득월액 인정액이 390,000원이고


가입기간이 30년인 경우 390,000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소득월인정액이 2,400,00원인 경우


가입기간이 40년이면  964,710원을,


35년이면 845,790원을 30년이면 726,870원을


노령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사랑스러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요건 총정리  (0) 2019.07.12
실업급여 수급자격 연장급여  (0) 2019.07.12
기초연금 수급자격  (0) 2019.07.11
주거급여 신청자격  (0) 2019.07.11
공동주택 공시가격 열람 조회  (0) 2019.07.10
Comments